반응형
공연기간: 2011.03.15(화) ~ 2011.04.16(토)
공연장소: 원더스페이스 네모극장
출연: 유리나(카르멘), 박두수(돈 호세), 박준석(죠바니), 윤영균 외 다수
오페라 카르멘(Carmen)은 조르주 비제의 작품으로 매우 인기 있는 오페라 작품 중의 하나입니다.
저는 이 작품을 레뷰 프론티어에 당첨이 되어 연극으로 만나 보게 되었습니다.
<카르멘>을 보았든 보지 않았든 '투우사의 노래(Chanson du Treador)'라든가 몇몇 귀에 익숙한 노래가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유명한 오페라지요.
대학로 연극은 첨이라 좀 신기합니다.
많은 사진을 찍어 오려 했는데, 사진 촬영 금지라 외부 정경 사진 몇 장 뿐이네요. 좀 아쉽습니다.
연극 <책 읽어주는 죠바니의 카르멘>은 오페라에서 유명한 이러한 곡들 위주의 스토리 진행은 아닙니다.
말 그대로 책을 읽어주듯이 스토리 진행에 초점을 맞춘 연극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원작은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것을 하고 있는데, 그의 격언 중에 '고양이와 여자는 부르면 도망가고, 모른 척 하면 다가온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카르멘>의 대사 중에도 이와 비슷한 대사가 있는데, 이 대사가 카르멘을 흐르는 전반적인 이야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카르멘은 바람 같은 여자야. 바람은 느끼는 것이지 잡지는 못해. 넌 바람을 잡으려는 바보고..."
정열적 사랑일까, 집착일까? 돈 호세 |
남자에게 있어 첫 정을 준 여자는 잊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돈 호세는 시골 출신의 순박한 군인이었고, 카르멘을 포로로 호송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지요.
하지만, 카르멘은 돈 호세를 유혹하여 자신의 사랑의 포로로 만들어 버립니다.
처음부터 사랑으로 시작이 된 두 사람이 아니었죠.
하지만, 돈 호세에게는 이제 카르멘은 자신에겐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사람이 되어 버린 듯 합니다.
정염에 휩싸였다고나 할까요?
자신을 다 태워버리고 꺼지는 촛불과도 같이 카르멘을 갈구하게 됩니다.
그의 머릿 속은 온통 카르멘으로 채워진 듯 해요.
짧은 한 순간의 사랑으로 자신을 다줘버리는 돈 호세가 바보같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순수한 사람이기에 가능한 사랑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게 합니다.
자유로운 집시의 영혼, 카르멘 |
카르멘은 태생이 구속을 싫어하는 자유로운 영혼입니다.
그녀에게 있어서 사랑은 영원한 것이 아니지요.
하다못해 사랑이 없더라도 자신을 원하는 사람이 있다면 사랑을 나눌 수 있는 매우 개방적인 여자이고, 또한 매우 매력적인 여인입니다.
이런 여자를 우리 세대에서는 팜므 파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죠.
돈 호세와 나눈 뜨거운 사랑도 그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거나 한 순간 즐긴 것일 뿐...
진정한 사랑은 아닙니다.
사랑은 약간의 구속도 있기 마련입니다.
만약 카르멘이 돈 호세를 사랑하였다면 자신의 자유를 일정 부분 포기했을지도 모르지요.
돈 호세도 그녀를 완전히 구속시키려 하진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카르멘도 돈 호세도 서로 만나지지 않는 평행선을 달리는 비극적인 운명의 주인공이 되고야 맙니다.
무엇이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것인지는 운명을 탓할 수 밖에 없겠죠.
이뤄지지 않는 사랑만큼 비극적인 사랑이 또 있을까요?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 경기 장면을 보면 투우사가 성난 소를 희롱하면서 마지막에는 지쳐 있는 소를 칼로 찔러 죽입니다.
돈 호세는 카르멘이라는 사랑의 투우사에게 희롱 당한 것일까요?
이 비극적인 사랑의 결말은 투우 경기에 비유된 카르멘의 죽음으로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
끝으로 열정적인 불꽃 같은 사랑을 나누었던 돈 호세와 카르멘을 기억하며 이 노래를 함께 포스팅합니다.
투우사의 노래(Chanson du Toréador) ~ Ludovic Tézier
※ 관람 포인트: 돈 호세와 카르멘의 심리 변화 및 출연진의 플라멩코와 다양한 악기 연주!
※ 아쉬운 점: 연극과 오페라의 경계를 허물기 위한 시도는 좋았으나 역시 노래가 주는 감동을 연기로 메우기엔 부족한 감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