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바이러스 [rotavirus]
전 세계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테두리에 짧은 바퀴살을 갖는 수레바퀴처럼 생겼다하여 wheel을 뜻하는 라틴어 'rota'란 이름이 붙었다. 1973년 처음 발견됐는데 당시 원인이 파악되지 않아 '가성 콜레라'로 불리기도 했다. 영유아 급성 설사병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2∼3세의 영유아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일교차가 크고 건조한 11월부터 환자 발생이 늘기 시작해 1∼3월경에 많이 발생하며, 주로 호흡기와 손으로 전염된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콧물, 기침, 열 등의 가벼운 감기 증세가 나타나고 이후에는 갑자기 심한 구토와 설사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비누, 소독제에 대한 내성이 있어 손을 깨끗이 씻는 것만으로는 예방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 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영유아의 기본 접종으로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포함되어 있으며,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최우선적으로 퇴치해야 할 전염성 질병'으로 지정된 바 있다.
로타바이러스의 조기 예방은 위생만으로는 한계가 있네요.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이 최선의 선택 같습니다.
성인들은 걸리지 않고, 아기들이 자주 걸리는 것으로 봐서는 아기들이 아무래도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이겠지요.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5세 미만 영유아라면 대부분 1회 이상 감염될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늦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기에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발열과 구토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칫 로타바이러스 장염을 감기로 오인하고 방심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뒤이어 하루에 10~20회의 물설사를 반복할 수 있으며, 계속되는 설사로 인해 탈수가 심해지면 쇼크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런 치명적인 로타바이러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총 2회 접종만으로 로타바이러스 장염을 빠른 예방이 가능합니다.
[이수연(33)/아이 엄마 : 처음에는 감기인 줄 알고 왔거든요. 열나고 토해서 해열제만 계속 먹였는데 로타 바이러스라는 게 좀 당황스럽네요.]
[성태정/한림대 의대 강남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보통 감염된 아이의 대변이나 침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고요. 그 아이와 접촉을 하는 손을 통해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SBS생활경제 2010.11.08 보도자료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817696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게 일어나는 급성장염입니다.
(1)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생후 3~24개월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므로 가급적 조기에 예방하는 것이 좋다.
(2) 생후 2, 4개월에 2회 접종으로 로타바이러스 장염 빠르게 예방
총 2회 접종하는 로타릭스는 DTaP 등 다른 소아 백신과 동시 접종이 가능하므로
생후 2, 4개월 시점에 다른 백신들의 접종 스케줄에 맞춰 총 2회 접종하면 편리하다. 더 일찍 접종을 끝내고 싶다면,
생후 6주부터 1차 접종을 하여 최소 4주 후 2차 접종을 할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생후 3~24개월 시기에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데 그 전에 2회 접종을 모두 완료할 수 있다.
2차 접종은 되도록 생후 16주(4개월)에 완료하는 것이 좋으며 늦어도 생후 24주까지는 완료하여야 한다.
(3) 사람균주로 만들어 자연감염효과 모방:
로타릭스는 자연감염효과를 모방하고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유행 균주에 광범위한 면역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람균주로 만들어졌다.
(4) 가장 흔하게 유행하는 5가지 로타바이러스 유형 예방:
생후 6주 이상 영유아에서 가장 흔하게 유행하는 5가지 균주(로타바이러스 유형:G1, G2, G3, G4, G9)을 광범위한 예방효과가 있으므로 예방에 효과적이다.
Rotarix QR코드
육아를 위해 이것저것 신경 쓸 게 많은 엄마들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로타바이러스 질환과
예방접종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Rotarix QR코드를 만들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