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 창업

코스닥 시장 단상

by ILoveCinemusic[리뷰9단] 2013. 6. 6.
반응형

얼어붙은 코스닥

▲ 코스닥 일봉(다음 빅차트)

코스닥의 과열국면은 약 한,두달 전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작년 말을 기준으로 6개월 동안 꾸준히 올라왔던 코스닥은 588.54p를 고점으로 하여 6거래일 동안 음봉으로 마감하며 다시 장기 박스권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국면에 있다.

코스닥 시장은 기술적 분석상 상승3파를 거치고 횡보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종목별, 업종별로 IT, 제약, 자동차부품주 등을 주도주로 하며 6개월 동안 상승하였던 코스닥 시장의 대부분의 상승분을 내주게 되는 셈인 것이다.
 

▲ 코스닥 주봉(다음 빅차트)

코스피 지수가 뱅가드 이슈와 엔저 현상, 세계 경제의 유동성 위기 등을 이유로 1900~2000p 사이의 지루한 장을 오가는 동안, 코스닥 지수는 기관과 외인들의 꾸준한 매집으로 인해서 450~550p의 장기간 동안의 박스권을 탈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애널리스트 및 증시 전문가, 증권 방송 등에서는 각 종목별로는 연초의 목표가를 상향하기도 하고, 코스닥 지수의 목표가 또한 당초 580p에서 600p로 상향 조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주봉상의 장대음봉은 이러한 기대를 무너뜨리는 것임과 동시에 588.54p가 결국 2013년 연중 고점일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이를 업종별, 종목별로 다시 말하면 연초에 나온 목표가에 도달하면서 신고가를 냈던 업종별 종목들은 그것이 연중 최고가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해진다는 얘기다.

▲ 코스닥 월봉(다음 빅차트)
 
 코스닥 시장이 하락을 멈추고 돌아서기 위해서는 외인과 기관들이 매수 전환을 하여야 한다.
고점에서 물린 사람들은 이 기술적 반등을 이용해서 비중 축소를 하여야 하며, 매수 기회를 타진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메이저들의 매수 전환을 확인하고 나서 들어가야만 할 것이다.
 

▲ 코스닥 월봉 부분 확대(다음 빅차트)
 
코스닥 월봉을 좀 더 디테일하게 살펴보자.
코스닥 지수가 한 차례 더 상승한다는 가정하게 추세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지난 2월 발생한 양봉의 고점을 무너뜨리지 않아야 한다.
최소한 120MA(524.71p)를 지켜줘야 조정 이후 코스닥의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겠다.
  
증시 먹구름- 3% 성장률과 엔저
 
 우리나라 경제가 고성장을 하던 때는 지났다.
증시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코스피 지수든, 코스닥 지수든 미국 시장처럼 고점을 갱신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 여겨진다.
 
코스닥 지수가 대내외의 어려운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점을 갱신한 이유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라는 정책하에 있는 중소기업육성책과 관련이 있다.
 
시장 상황만으로만 본다면 코스닥의 차익 실현을 한 기관과 외인의 자금은 코스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7월초면 뱅가드 자금이 100% 완료 되기 때문이다.
상반기에 코스닥이었다면 하반기는 코스피가 될 가능성이 크다.
시소 게임에 비유하자면 상반기에는 무게 중심이 코스닥에 있었다면 하반기는 코스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코스닥은 지금 대부분 그동안의 상승 추세를 무너뜨리고 추세 이탈을 하였는데, 실적이 좋은 종목은 비교적 덜 빠지고, 실적이 좋지 않은 종목은 더 빠진 상태다.
 
다음주 정도면 기술적 반등이 나올 구간이라 보여지는데, 추세 이탈 종목은 추세가 되돌려지는가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고, 실적이 뒷받침 되지 않는 종목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비중 축소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IP.
자신이 가진 종목 바닥 탈피/추세 전환 확인하는 방법
 
개미들이 '이 정도면 고점 대비 많이 빠졌다'. '이 정도면 바닥이겠지' 하면서 매수를 하면 오히려 주가는 더 하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팁을 주려 한다.
 
1. 하락세에 있는 종목 중 바닥 부근에서 '십자형/비석형' 캔들이 출현하면 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다.
2. 거래량이 실린 5% 이상의 양봉이 나오면 바닥탈피 및 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다.
3. 메이저의 수급(외인과 기관)이 양매수 전환이 들어오면 바닥탈피 및 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코스닥 종목은 양매도 중임.)
4. 전일의 음봉을 압도하는 양봉이 출현하는 경우(상승장악형)
 
 ※ 본 포스팅은 투자에 참고만 하길 바라며 이로 인한 투자의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