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

문화/예능/교육

by ILoveCinemusic[리뷰9단] 2009. 7. 9.
반응형

가이던스: 교육상 당면한 문제를 피교육자의 개성에 따라 지도하는 교육활동

교육공해: 일체의 비교육적 환경요인을 말하는데, 물리적 환경요인·사회심리적 풍토·사회문화 환경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교외의 잡상, 만화가게 등 유해업소와 교내의 변소, 상수도 시설, 교실의 부족으로 인한 물리적 공해와 학교 운영을 행정편의 위주로 경영하는 나머지 개인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무시하는 경향으로 인한 정신적 공해, 그리고 일류병, 치맛바람 등으로 통칭되는 그릇된 아동관과 교육관에 의한 영향력 등으로 교육의 위기를 조성함을 말한다.

라 바야데르(La Bayade re):
클래식 발레. 힌두 사원을 배경으로 무희 니키아와 전사 솔라, 왕국의 공주 감자티의 삼각관계를 묘사한 작품.

브루크너 교향곡 2번:
쉼표교향곡의 작곡가라는 별명을 안긴 최초의 작품. 온쉼표(한 마디 전체를 쉬는데 쓰이는 쉼표. 전휴부)로 악절을 구분해가는 브루크너 특유의 개성을 살린 교향곡.

소파상: 소파 방정환을 기리기 위해 새싹회가 제정한 상. 1957년부터 시작해서 매년 어린이를 위한 운동에 가장 큰 공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하고 있다.

생상: 교향곡 3번 <오르간>
피아노협주곡 5번 <이집트풍>

생활교육: 구교육에서는 아동들의 실생활과는 관계가 없는 지식 체계식 교육을 실시해 왔으나, 생활교육은 아동을 그들의 실생활에서 흥미를 느끼게 하고, 이를 발전시키려는 교육을 말한다.
「생활에 의한, 생활을 위한 교육」을 슬로건으로 하는데, 페스탈로찌로부터 비롯되었고, 듀우이의 교육사상에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아카데미: 플라톤이 아테네 교외의 아카데모스 숲 속에 세운 학원 이름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림원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학예에 대한 각족 단체·학술원·대학교 등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프리츠커 건축상(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건축계의 노벨상

커리큘럼(Curriculum): 학습의 체계적 계통을 세우는 것

IQ:지능지수: 1890년 프랑스의 비네에 의해 실용화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