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

허경영 롤스로이스 교통사고,허경영 재산

by ILoveCinemusic[리뷰9단] 2016. 4. 28.
반응형

허경영 롤스로이스 교통사고,허경영 재산

허경영이 7억 원 상당의 세계 3대 명차 롤스로이스 팬텀 리무진(6억8천만 원~7억8천만 원)을 몰다 볼보를 들이받았고 볼보 차량은 앞서가던 벤츠 차량을 추돌해 삼중 추돌 교통사고를 냈습니다.

 

 

허경영의 롤스로이스 차량은 본인의 명의가 아닌 리스 차량입니다.

5년 전부터 리스하고 있으며, 리스 비용은 한 달에 600~800만 원이라 합니다.

본인 명의로 롤스로이스 차량을 소유한 유명인으로는 랩퍼 도끼와 장근석,이건희 회장이 있다 합니다.

 

 

볼보 시승자가 허경영과 합의를 시도하다 합의가 되지 않자 신고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허경영의 재산은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1997년 대선 후보 등록 당시 9억9천만 원이 신고되었습니다.

2007년 대선 때는 6억 원...

 

 

제보자에 의하면 수리비가 2700만 원이 나왔는데 롤스로이스 차량이 2000만 원짜리 책임보험 밖에 가입돼 있지 않다고 합니다.

개인 보험으로 수리비를 부담하고 있는 상태라 밝혔습니다.

 

 

허경영은 정치인이자 가수로 IQ가 430이고,축지법을 구사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내 눈을 바라봐~라며 눈빛으로 치유를 할 수 있고,공중부양, 외계인과의 교신 능력도 있다고 했습니다.

 

 

제15,17대 대선에서는 책임보험료가 미납된 롤스로이스 차량을 운행하다가 적발된 사실도 있습니다.

 

 

허경영 10대혁명공약

국회의원을 100명으로 줄이고 출마자격고시 실시로 자질을 높임

매년 200조 정도의 탈세를 막아 조성된 300조로 경제대국건설

 

 

65세이상 매월 50만원씩 노인수당 지급,출산시 3000만원,결혼때 1억 무상지원

불법지하자금 900조 회수하여 서민부채해결,어음보험제도 신설로 부도해결

중소기업취업자 매월 100만원 쿠폰지원으로 청년실업해소와 중소기업육성





가정생활용품 압류금지,400만 신불자 무이자 장기융자로 완전해결

이혼전과기록 호적기재폐지 및 그동안의 기록 모두 삭제하여 사생활 보호

 

 

중3때 평생전공결정으로 고교부터 전공 1과목 시험으로 과외해방

전기,전화,핸드폰,수도요금 각 3만원까지 국가부담,자동차세 폐지

6.25,월남참전용사 3억원 지급 및 매월 30만원 지급,사병 복무기간 단축

 

 

허경영 어록(?)

-1살 때 취침시 1억2천만 광년 떨어진 곳으로 유체이탈 우주시간으로 10시간씩 창조주를 만난다. 지구시간으론 2분

 

 

-아이큐 430 박정희 대통령 비밀 보좌관시절 서울사대 교수들이 측정했다.

-시력 4.0

 

 

-아이슈타인,에디슨도 뇌를 15%밖에 활용 못했는데 난 내 뇌는 100% 활용

-지구를 걷는 축지법,중력을 조절해 공중부양

 

 

-하루3번 내 이름을 세번씩 부르면 원하는걸 얻거나 원하던걸 할 수 있다.

-마이클 잭슨의 영혼이 죽기 3일 전 나를 찾아왔다.

 

 

-북한과 통일 2025년에 될 것

-세계통일은 2040년에 될 것

 

 

정확한 재산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달 600~800만 원의 롤스로이스 팬텀 리무진을 타고 다니는 것은 어찌됐건 과소비인 듯 합니다.

 

 

더군다나 교통사고가 난 볼보나 벤츠 차량도 모두 고가의 외제차량이어서 보험료만 해도 엄청날 듯 하네요.

 

 

허경영에 대해서는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다뤄진 바 있죠.

PD 수첩에서도 다뤄져 허경영 본인은 미혼을 주장하지만 최소 2번 이상 결혼했으며 2남 1녀를 두고 있는 가장이란 점도 밝힌 바 있습니다.

 

 

허경영은 공직자 선거법 위반과 명예 훼손으로 구속된 바 있습니다.



📌 트럼프 탄핵 가능성과 박근혜와의 공통점

 

트럼프 탄핵 가능성과 박근혜와의 공통점

트럼프 탄핵 가능성과 박근혜와의 공통점 헌재의 탄핵 인용으로 박근혜가 파면이 되었습니다. 이런 시점에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의 탄핵이 대단하다는 반응도 있고, 트럼프는 박근혜보다 더한

blogmani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