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티븐 호킹5

스티븐 호킹 별세,기적과도 같았던 삶 스티븐 호킹 별세,기적과도 같았던 삶 영국 옥스퍼드 출신의 세계적인 천체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별세하였습니다. 향년 76세. 스티븐 호킹 박사는 2018년 3월 14일 화이트데이인 오늘 영국의 케임브리지에 있는 자택에서 별세하였습니다. 케임브리지 석좌교수직인 루카스 석좌교수였던 스티븐 호킹 박사는 〈시간의 역사〉,〈위대한 설계〉와 같은 저서가 있으며, 갈릴레오, 뉴턴, 아인슈타인과 같은 물리학자의 계보를 잇는 분입니다. 스티븐 호킹 박사는 우주론과 양자 중력의 연구에 기여를 하였는데요. 블랙홀과 블랙홀 열역학(블랙홀이 입자를 방출하다 증발해 사라질 수 있다는 '호킹 복사 이론'), 양자장론 등의 이론을 펼쳤습니다. 정상인이었고, 건강하였던 스티븐 호킹 박사는 만 20살에 근위축성측색경화증(ALS.. 2018. 3. 14.
이세돌·알파고,인공지능의 미래 이세돌·알파고,인공지능의 미래 대국: 룰 전반적: 중국 룰 제한시간: 2시간+초읽기 3회 덤: 7.5집 대국방식:호선 방식(급수 차이만큼 미리 돌을 놓는 접바둑이 아니라 서로 대등하게 흑백을 바꾸며 겨루는 방식) 이세돌 9단: "3대2, 이런 승부는 아닐 것 같고 한판을 지냐 아니면 5대0이냐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 대표: "알파고가 중국 방식대로 연습해왔기 때문에 수정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국이 다음달 9일부터 15일까지 매일 오후 1시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며 국내 바둑 tv와 중국,일본 tv에서 생중계가 됩니다. 이세돌 9단은 4:1 또는 5:0의 대결이 될 것이라 말하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췄고, 알파고 측은 5:5 정도로 승부를 점치고 있습니다. .. 2016. 2. 23.
좀비 벌 미국 확산, 아인슈타인의 꿀벌 가설이 생각나는 이유 좀비 벌 미국 확산, 아인슈타인의 꿀벌 가설이 생각나는 이유 2008년 처음 발견된 좀비 벌이 미국 북동부를 급습했다고 합니다. 좀비 벌은 일반적인 꿀벌이 누에 쉬파리의 일종인 기생파리(학명: Apocephalus borealis)에 감염되면서 영화에 나오는 좀비처럼 죽기 전까지 이상행동(제자리에서 맴도는 등의 이상한 행동을 반복하다 밤중에 빛을 향해 돌진해 날아가 죽음)을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손가락 버튼을 꾸욱 눌러주세요 ▲꿀벌 등에 올라타 유충을 꿀벌에게 삽입하는 기생파리의 모습 기생파리는 꿀벌 배 안에 2~4초 내에 산란관을 삽입해서 알을 낳아 숙주로 삼는다고 합니다. 감염된 꿀벌은 유충이 부화한 후 5분 내에 죽는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아직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북아메리카.. 2014. 2. 1.
팬도럼- 인류 최후의 노아의 방주 원제: Pandorum (2009)장르: SF, 공포러닝타임: 108분감독: 크리스티앙 알바트출연: 데니스 퀘이드, 벤 포스터, 캠 지갠뎃, 안트예 트라우에, 쿵 리관람매체: 수퍼액션영화 평점:  영화 몰입도: ※ 영화 평점 및 기타 그 외의 평가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임을 양해 바랍니다.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판도라의 상자(Pandora's Box)와 팬도럼(Pandorum)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은 영화 내에서 '장기간의 우주 비행과 수면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인 착란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표현이 되어 있습니다.'영어 사전을 찾아보니 이 단어는 나와 있지 않은 걸로 봐선 아마도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단어 같습니다.굳이 영어 어원으로 분석을 해보면 Pandora의.. 2012. 4. 10.
거의 모든 것의 미래- 신의 주사위는 던져졌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주사위는 던져졌다"고 말하였습니다. 이 말은 일이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단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표현할 때 종종 쓰여지는 말입니다. 주사위가 던져지게 되면 어떠한 면이 나오게 될지 그 결과를 가늠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들은 어떠한 결과가 나오게 될까에 주목하게 되는 호기심을 지닌 존재입니다. 우주의 만물은 신의 주사위 놀음에 비유되곤 하기도 하지요. 어떠한 숫자가 나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미래를 예측하기는 불가능에 가깝지요. 이 비유는 변수가 많기는 하지만 결정론적 세계관과 관련이 깊습니다. 는 만약 신의 주사위가 던져졌다면 어떤 면이 나올 것인가에 대한 탐구입니다. 모든 변수를 대입한 슈퍼컴퓨터가 있다면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신의 주사위의 미래를 예.. 2010.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