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체중3 건강과 장수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몸매, 의외네! 건강과 장수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몸매, 의외네! 'SBS 스페셜' 비만의 역설 편을 보면 날씬하고 군살 없는 몸매가 보기에도 좋고 더 오래살 것이라는 기존의 고정관념과는 달리 건강과 장수를 위해서는 약간 뚱뚱한 편이 더 오래산다는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방송 뿐만 아니라 최근 서울대병원이 아시아인 114만명의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약간 뚱뚱한 사람이 더 건강하고 오래 살며, 심장병이나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는 연구 결과도 있죠. 그러므로,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은 이제 틀린 말임이 입증이 되었으며, 비만 그 자체는 건강과 장수에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합니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다.(X) 비만 그 자체에는 아무런 .. 2014. 9. 5. 르까프 더핏 워킹화- 일상이 운동이 되는 즐거움 BMI지수(체질량지수) 계산법 {체중/(신장×신장)}×10000 저체중 18.5 이하 정상 18.5~23 과체중 23~25 비만 25 이상 자신의 BMI 지수가 높게 나와서 충격을 받으셨나요? 그래서 다이어트나 운동을 결심하게 되셨다면 부디 꾸준히 병행하셔서 정상 체중으로 돌아오시길 바랍니다. 살이 찌기는 쉬워도 살을 빼기는 어려운 듯 합니다. 수많은 다이어트법이 있지만 가장 힘든 것은 '인내'하는 것이 아닐까요. 먹고 싶은 음식을 앞에 두고 먹는 것을 참아야 하고, 힘든 운동을 큰 맘 먹고 시작해도 꾸준히 지속하는 마음이 사라지지 않게 참아내야 합니다. 금연만큼이나 힘든 다이어트... 아니 금연보다 더 힘든 다이어트일지도 모르겠네요. 금연하다 죽은 사람은 없어도 다이어트로 죽는 사람은 생기니까 말이죠... 2011. 9. 15.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살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체중인 사람보다 과체중인 사람의 수명이 6~7년 긴 걸로 나타났는데요. 저체중과 과체중에 대한 비교만을 볼 때 그렇다는 것이며, 정상인 사람과 과체중인 사람과의 연구 결과는 언급되지 않았네요. BMI지수 계산법을 한 번 알아볼까요? BMI지수(체질량지수) 계산법 {체중/(신장×신장)}×10000 저체중 18.5 이하 정상 18.5~25 과체중 25~40 비만 30 이상 자신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뒤 10000을 곱해주면 체질량지수가 나옵니다. 저는 대략 반올림해서 과체중 그룹에 속하는군요. 아주 살찐 편도 아니고, 마른 편도 아닌 통통한 편이라고 해야겠죠. 10년이 넘게 나온 결과이니 저체중과 과체중과의 상관관계로 본다고 한다면, 확률상으로 .. 2009. 6.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