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

재산에 따른 명칭 분류(백만장자 억만장자 슈퍼리치)

by ILoveCinemusic[리뷰9단] 2023. 8. 21.
반응형

재산에 따른 명칭 분류

무협물 장르를 읽어보면 무공의 경지에 따라 삼류, 이류, 일류, 초절정고수, 화경, 현경, 생사경 등으로 분류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자를 갑부, 부호, 거부, 자산가, 자본가 등으로 부르지만 명확한 경계가 없습니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백만장자, 천만장자, 억만장자, 슈퍼리치 등으로 무협물처럼 분류를 하기가 편하죠.

 

무공의 경지

 

● 흙수저: 자산 5000만 원 이하 또는 연 수입 2000만 원 이하에 해당합니다.

 

● 일반 근로자: 연 수입 2000만 원 이상, 5500만 원 이하의 대부분의 근로소득자에 해당합니다.

 

● 은수저: 자산 5억 원 이상 또는 연 수입 5500만 원 이상에 해당합니다.

 

● 고소득자: 근로소득자 중 고액 연봉을 받는 사람에 해당합니다.

 

 

● 백만장자: 금융자산 100만 달러 이상(2023년 원달러환율 기준 13억 3550만 원 이상)인 사람. 영어로는 millionaire라고 합니다.

→ 금융자산이란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대출금 등 부동산을 제외한 유동자산을 말합니다.

자산가는 대출금을 포함한 금액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고, 자본가는 대출금을 포함하지 않는 금액을 가진 사람을 말합니다.

2021년 기준 대한민국 상위 1%의 순자산 규모는 29억 원입니다.

 

● 금수저: 자산 20억 원 이상 또는 연 수입 2억 원 이상에 해당합니다.

 

● 천만장자: 금융자산 100억 원 이상의 부자를 일컫습니다.

대한민국 0.1%, VVIP에 해당합니다.

 

● 슈퍼리치: 금융자산 100억 원 이상이거나 총 자산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사람을 말합니다.

 

 

● 억만장자: 영어로는 Billionaire라 합니다. 10억 달러(2023년 8월 18일 원달러 환율 기준 1조 3356억 원) 이상을 가진 부자를 말합니다. 억만장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입니다.

록펠러, 카네기, 헨리 포드, 제프 조베스,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마크 저커버그, 이재용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 조만장자: 영어로 Trillionaire라 합니다. 1조 달러(1335조 1000억 원) 이상을 가진 대부호를 말합니다.

비공식적으로 사우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가 조만장자에 해당한다고 하는데,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국가의 재산이 포함되어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직까지 조만장자는 이 세상에 없다고 합니다.

만약, 일론 머스크가 우주개발에 성공을 하게 된다면 어쩌면 인류 최초의 조만장자로 등극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무공고수와 부자의 경지 비교

 

부자가 되는 경로

1. 증여 또는 상속

2. 복권 당첨

3. 결혼

4. 부동산 또는 주식 투자

5. 사업

6. 근로소득

7. 정치

8. 범죄자

 

부자와 일반인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근로소득보다 자본소득이 훨씬 많다는 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