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의 뜻, 징비록 캐스팅, 징비록 등장인물, 조선시대 사색붕당
[징비록 뜻]
1. 조선 선조 대 영의정이던 서애 류성룡이 집필
2. 임진왜란 발발 당시인 1592~1598년 전황을 수기로 기록한 책
3. 선조 37년 1604년 집필 완료
4. 국보 제 132호
5. 징비록이란 이름은 <시경>-소비편(小毖篇)에 적혀있는 '나를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여기징이비후환, 予其懲而毖後患)'는 구절을 인용한 것
'징비록'
KBS1
방송시간 21시 40분~
[징비록 내용]
임진왜란 전쟁의 배경
임진왜란 전투 당시의 상황
일본과 명나라 등과의 외교관계
주요 맹장에 대한 묘사와 성과
임진왜란 이후 백성들의 생활상 등
남인이었던 류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주요 직책을 역임하였는데, 당시 보고된 문서를 바탕으로 불편부당(不偏不黨)한 객곽적인 시각을 견지하여 <징비록>을 써내려갔다 합니다.
[징비록 기획의도]
임진왜란이라는 조선 최악의 국난, 난세 속에서도 나라와 백성을 지키고자 했던 혁신 리더 류성룡이 임진왜란 7년을 온몸으로 겪은 뒤 국가 위기관리 노하우와 실리 위주의 국정 철학을 집대성해 미리 나라를 강하게 만들어 환란을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후세에 전하고자 집필한 동명의 저서를 바탕으로 하는 대하드라마
-보도자료 발췌
[징비록 초본과 간행본의 차이]
류성룡 개인이 저술한 초본 <징비록>과 이후 인쇄된 간행본 <징비록>이 있음
1.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몽진할 당시 초본에는 선조가 몽진 의사를 갖고 이를 주도한 것처럼 서술하고 있으나 간행본에서는 그냥 조정 내에서 몽진에 대한 논의가 돌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2. 칠천량 해전 패전 소식이 전해진 후 이순신 재기용에 대해 초본에는 선조가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며 비변사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다 이항복 등이 이순신을 재기용해야한다 주장하자 아무말 없이 나가버리는 버렸다고 적었으나 간본은 신하들이 권하니 선조가 그냥 따랐다고 적고있다.
3. 원균에 대한 비판도 초본이 훨씬 강도가 높다.
-엔하위키 미러 발췌
김태우[영화 '관상' 중 ]
[징비록 캐스팅]
왕실 인물들 |
동인 |
남인 |
서인 |
선조-김태우 귀인김씨-김혜은 의인황후 박씨-황인영 광해군-노영학 임해군-윤홍빈 |
아계 이산해-이재용 한음 이덕형-남성진 학봉 김성일-박철호 나암 정언신-박칠용 연부 정언지-허기호 |
서애 류성룡-김상중 |
오음 윤두수-임동진 송강 정철- 선동혁 백사 이항복-최철호 구봉 송익필-박지일 우계 성혼-김효원 우송당 황윤길-김종수 |
남인: 선조 때 동인에서 갈라져 나옴. 서인에 대한 온건파. 북인이 사라진 이후 예송을 통해 서인(노론)의 가장 큰 상대당.
남인계열 주요 인물- 퇴계 이황, 서애 류성룡, 오리 이원익,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등
북인: 서인에 대한 강경파. 남명 조식(남명학)의 주요 제자들이 구성원. 인조반정 이후 크게 몰락.
북인계열 주요 인물- 남명 조식, 동암 이발, 망우당 곽재우, 송암 김면, 아계 이산해, 내암 정인홍, 관송 이이첨, 교산 허균 등
동인: 사림 중 후발주자. 김효원의 집이 동쪽에 있다 해서 동인.
서인: 인조반정 이후 주도권을 잡은 당파.
서인계열 주요 인물- 율곡 이이, 송강 정철, 오음 윤두수, 중봉 조헌, 백사 이항복 등
풍신수길
그외 캐스팅, 명나라 왜나라 인물, 류성룡과 관련된 인물 등 다수
이천리-정태우
요도-손가영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김규철
고니시 유키나가(소서행장)-이광기
가토 기요마사(가등청정)-이정용
잘 읽었다면 ♡를 눌러주세요
댓글 영역